21세기 성서읽기/성서학당

성서의 금융․경제용어

희년행동 2022. 7. 17. 21:11

성서의 금융경제용어

 

구약성서 - 화폐 용어

 

1) ‘쉐켈’<שקל> 무게의 단위(11g): 구약시대에 가장 많이 사용된 천연화폐의 무게 단위

왕실에서는 더 무거운 쉐켈(13g)단위를 사용했다.(착취의 도구로 이용)

- ‘게라’<גרא> 가장 가벼운 무게단위(0.5g) : 곡식의 낱알 또는 콩알을 의미함

베카아’<בקע> 반 쉐켈(6g) : “쪼개다라는 동사에서 유래

2) ‘마네’<מנה> 무게 단위: 50 쉐켈에 해당하는 무게(500g), <미나> “몫을 나누다라는 동사에서 유래함

3) ‘키카르’<ככר> 달란트: 60마네에 해당하는 무게 단위, 30-33kg / ‘둥그런이라는 의미에서 유래 함 / 왕실에서 사용하는 표준달란트는 두 배(60kg)

키카르 자하브”<ככר זהב> 금 한 달란트 : ‘자하브’ -

키카르 케세프”<ככר כשף> 은 한 달란트 : ‘케세프’ -

4) “솨칼”<שקל> 무게를 달다 : 고대의 천연물화폐 은 금 등을 달아서 값을 지불하는 거래

5) 저울: ‘펠레스’<פלס> “평평하게 하다라는 동사에서 왔음

6) 천칭저울(천칭의 두 접시): ‘모즈나임’<מאזנים> / ‘오즈나임두 귀의 균형이라는 의미

저울 추: ‘미쉬켈레트’<משקלת>

7) ‘메히르’<מחיר> , 매매가격

8) 주조화폐: 유대지역에는 페르시아제국 시절부터 주조화폐가 통용되기 시작했을 것인데, 마카비왕조 시절에는 직접 주조화폐를 만들었다. 예수시대에는 예루살렘성전주조화폐가 통용되었다.

 

금융용어

 

1) “나솨”<נשא> “대부하다”, 고리대금업을 하다 / <노쉐-분사-빚쟁이>: “저울의 쟁반에 올리다라는 의미에서 유래

2) , 재산: ‘오쉐르’<עשר>, “부유해지다”(아솨르)라는 동사에서 유래

’<הון> 재산, 보물: , 권력, 능력 등을 상징함

아후자’<אחזה> 토지재산: “점령, 정복하다/노획품으로 잡다(사람까지)”<아하즈>라는 동사에서 유래

’<און>, 재산: 어원아벤’-허위, 불성실 또는 타인에게 끼치는 고난, 고통, 불의 등

하이일’<חיל> , 재산: 세력 힘(군사력)으로 상징함

하리트’<חריט> 돈주머니

 

신약성서 화폐용어

 

1) ‘맘모나스’<μαμωνς> - 축적 된 부로써 돈: 아람어의 헬라어 음역인데 부의 신 맘몬을 의미 함

2) ‘-법적화폐’<노미스마 νόμισμα>

알귀로스’<ἄργυρος> (반짝이는) 은화

* 유대화폐: ‘레프톤’<λεπτόν> : 껍질<λεπίς> 또는 가볍다라는 의미/ 쉐켈

유대화폐는 가이사랴지역에서 주조 했을 터인데 유대전역에서 유통됨

* 헬라화폐: ‘드라크메’<δραχμή> : 손에 쥐다<δράσσομαι>라는 의미에서 하루 품삯의 가치

스타텔’<σταήρ> 4 드라크마 : “일어서다”<στάσις>라는 의미에서 서민의 넉넉한 주머니를 상징함

므나’<μνᾶ> 100 드라크마 / ‘달란트’<τάλαντον> 60므나, 무게로는 20-40kg까지 다양함

헬라화폐는 안디옥과 두로에서 주조했는데 팔레스타인 전 지역에서 통용

* 로마화폐

코드란테스’<κδράντης> 로마화폐의 가장 작은 단위 : 앗사리온의 4분의 1

앗사리온’<ἀσσάριον> 4 코드란트

데나리온’<δηνάριον> 16 앗사리온 : 노동자들의 하루 품삯 가장 일반적인 로마화폐

예수시대의 주조화폐는 금, , , 청동 및 놋쇠가 사용 되었는데 가치가 낮은 것들은 청동이 놋쇠로 주조되었음(유대화폐 레프톤, 로마화폐 고트란트, 앗사리온 등은 청동화폐)

* 환률: 2 레프톤 = 1 고드란트, 1데나리온 = 1드라크마, 1쉐켈 = 1스타텔 = 4데나리온

1므나 = 30쉐켈 = 100데나리온, 1달란트 = 60므나 = 6,000데나리온

3) 신약시대의 천연화폐 무게 단위 : ‘리트라’<λίτρα> 로마의 무게 단위 약 327g

달란트’<τάλαντον> 헬라와 로마의 무게단위 20에서 40kg까지 다양하게 평가 함

 

금융용어

 

1) 크레마’<χρμα 단수> 쓰임, 필요 : “크라오마이”<χραʹομαι> “쓰다, 필요하다에서 유래

- “쓰다, 필요하다” <χραʹομαι> 라는 동사의 원형은 크라오”<χραʹω> “빌리다이다.

2) ‘크레마타’<χρηʹματα 복수> : 재물들(, 재산)은 사람의 쓰임과 필요의 축적이다.

플루토스’<πλοτος> , 재산 : <πλήθω> “넘치도록 채우다에서 유래

휘파르콘타’<ὑπάρρχοντα> 사유물들 : ὑπό아래 + ἄρχω 지배하다.

3) ‘은행’<트라페자 τράπεζα> τετράς + πέζα = 탁자(은행 계산대를 상징함)

은행가’<트라페지테스 τραπεζίτη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