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금융시스템 속에서 사회․경제 숫자 이해하기
21세기 금융시스템 속에서 사회․경제 숫자 이해하기
• 2022년 대한민국 국내총생산(GDP 부가가치 총액)은 2,161.8조원이다.
그런데 22년 우리나라 2,072만 임금노동자 임금총액은 약 962.2조원이다.
22년 우리나라 부가가치 총액 가운데 이윤 등 불로소득이 약 66%, 이천 칠십이만 임금노동자들의 임금총액은 약 44%이다.
한마디로 21세기 대한민국 사회․경제에서 불로소득은 대박, 노동소득 쪽박이다.
이러한 현상은 지구촌 사회․경제에 널리 퍼져있다. 지금, 미국은 일자리가 넘쳐나지만 고졸학력 노동자들의 임금은 해마다 0.5%씩 졸아붙는다.
• 2022년 말 대한민국 국민순자산이 2경 380조원이다.
(아마도 실제로는 이 금액보다 훨씬 더 클 거다)
22년 말 국민순자산 가운데 가계와 비영리단체 순자산은 1경 1,237조원이다.
(가계와 비영리단체 순자산은 21년보다 318조원 줄었다)
22년 3월말 우리나라 모든 가구들의 평균 순자산은 4억 5,602만원이다.
(우리 집 순자산은 어디에 가 있을까?)
• 2022년 말 우리나라 결산법인 2,509개사의 총 주주숫자는 1,441만 명이다.
그 가운데 개인투자자 숫자는 1,424만 명(98.8%)에 이른다.
반면에 법인주주 숫자는 4만3천이고 외국인주주 숫자는 3만 3천이다.
더불어 코인투자자 숫자는 627만 명이다.
코로나19사태 이후, 나는 희년빚탕감상담 사례를 통해서 우리사회․경제상황을 이렇게 판단한다.
• 우리사회 청년계층은 자기 노동소득으로 자기 미래를 설계하지 않는다.
• 우리사회 이천팔백여만 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절반은 오롯이 금융투자(또는 부동산투자) 불로소득 대박에 자기인생을 맡긴다.
• 우리사회 중년층으로부터 준 노년층까지 미래불안 해소를 위해 불로소득대박에 목을 맨다.
※ 참고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2022년 말 국민대차대조표, 한국사회 지표, 가계금융복지 조사 보고서, 고용노동부 일자리동향 보고서, 한국예탁결제원 자료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