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3 4

성령의 역할과 활동은 무엇인가?

성령의 역할과 활동은 무엇인가? 성서의 가르침대로 하나님의 영 또는 성령은 ‘하나님의 생명바람 또는 생명의 숨’으로써 모든 ‘살아 있는 것들의 생명근거이고 실체’다. 하나님과 사람과 자연 곧 하나님과 하나로 창조생명생태계의 밑바탕이다. 사람은 아주 자연스럽게 ‘성령의 역할과 활동’을 통하여 하나님의 생명력 또는 하나님의 거룩한 영을 삶속에서 헤아리고 누리며 체험한다. 이렇듯이 하나님의 영은 ‘사람들의 절망과 죽음과 피흘림의 삶의 마당’에서 놀라운 변혁운동을 일으킨다. 피 흘림과 전쟁과 죽임 그리고 절망과 공포에 대항하는 생명평화세상을 꿈꾸게 한다. 맘몬․자본체제 노예세상에서 부와 권력에 기대어 사익과 탐욕만을 쫓던 삶을 청산할 수 있게 한다. 야훼하나님의 해방과 구원, 정의와 평등세상을 꿈꾸게 한다..

성령이란 무엇인가?

본문풀이 하나님 영의 사람, 참사람, 임마누엘 예수 성령이란 무엇인가? 우리말 성서가 ‘영’ 또는 ‘성령’으로 번역한 히브리어 낱말은 ‘루아흐 רוּחַ’이다. 신약성서 헬라어로는 ‘프뉴마 πνεῦμα’라고 한다. 문자적으로는 ‘바람 또는 숨’을 뜻한다. 특별히 히브리 성서 창세기1장2절에서는 ‘하나님의 생명바람 또는 생명기운’이다. 창세기2장7절에서는 ‘살아있는 하나님의 숨’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히브리 성서는 하나님의 생명창조활동을 보고하면서 태초에는 ‘깜깜함’만 있었다고 진술한다. 이때 한 올 생명의 가능성마저도 발견 할 수 없는 반생명의 깜깜함을 히브리어로 ‘호쉐크 חׄשֶׁךְ’라고 한다. 히브리 성서는 이 깜깜함이 넘실거리는 ‘깊음의 물’위를 짓누르고 있었다고 표현한다. 그러면서 하나님의 ..

복음서

복음서 복음서는 이천년 기독교회역사 속에서 핵심경전(經典)으로 자리매김한 ‘복음의 책’이다. 우리말 성서는 한자말로 ‘福音書’(복음서)라고 번역했다. 이때 기독교회의 신앙언어로써 ‘복음’은 신약성서 헬라어로 ‘유앙겔리온 Ευαγγέλιον 좋은 소식’이라는 의미다. 이와 관련하여 고대 헬라어에서 ‘유앙겔리온’은 관공서의 공문들을 가리키는 용어였다. 나중에는 풀뿌리 사람들이 주고받는 생활편지까지 ‘유앙겔리온’이라고 불렀다. 또 로마 공화정시대에 이르러 이 헬라어 ‘유앙겔리온’은 상류층 사람들 사이에서 주고받는 편지를 가리키는 용어로 쓰였다. 이후 로마제국시대에 이르러서는 로마황제의 칙령을 ‘유앙겔리온’이라고 불렀다. 로마제국 황실에서 축하할 일이 생기거나 황제의 명령을 전달할 때 ‘유앙겔리온’이라는 ..

역사적 예수 연구

역사적 예수 연구 서구교회의 역사적 예수연구는 크게 네 차례의 연구시대와 연구과정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현대 신학계는 역사적 예수 연구역사를 ‘초기 역사적 예수연구, 역사적 예수연구 포기, 새로운 역사적 예수연구, 세 번째 역사적 예수연구’로 분류한다. 먼저, 초기 역사적 예수 연구(Old Quest)시대를 대표하는 인물은 독일의 신학자 ‘헤르만 사무엘 라이마루스’(Herman Samuel Reimarus 1694년-1768년)다. 그는 ‘신앙과 교리의 예수가 아니라 역사 속에 살아 숨 쉬는 예수의 삶’을 탐구했다. 그가 탐구한 역사적 예수는 ‘복음서와 바울서신들에서 나타나는 신앙과 교리의 예수와 큰 차이가 있다’고 주장했다. 역사적 예수는 자기시대의 유대사회와 종교를 변혁하려고 노력했을 뿐이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