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 노예들의 하나님 - 그 분의 이름은 ‘야훼’
그럼에도 불구하고 누구든 사람에게는 하나님에 대한 ‘불안증’이 있다. 인류종교․문명사에서 하나님은 친근함보다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그래서 시대마다 모든 사람들이 물었다.
“하나님,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어떤 하나님이 나에게 은혜를 베푸는지? 어떤 하나님이 나에게 노하셨는지? 그것을 알아내는 일은 매우 중요했다.
또 한편 하나님의 이름을 안다는 것은 하나님을 사유화하거나 독점하거나 이용하려는 욕망과 연계되어 있다. 따라서 ‘하나님,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라는 질문은 ‘하나님에게 요구하는 사람마다의 자기욕망’이다. 따라서 그 답은 ‘사람마다의 자기욕망이 드러나는 미래의 하나님의 사건’을 통해서 깨닫게 된다.
그러므로 ‘하나님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라고 묻는 모세의 질문에 대한 정답은 ‘야훼 하나님의 출애굽 해방과 구원사건’이다. 야훼 하나님은 파라오 노예제국에서 종살이 하던 히브리 노예들을 해방하고 구원하셔서 야훼하나님의 사람들로 삼으려고 하신다. 히브리 노예들의 하나님 야훼는 거리낌 없이 모세에게 당신의 이름을 계시 하신다.
“에흐예 아쉐르 에흐예 אֶֽהְיֶה אֲשֶׁר אֶֽהְיֶה 나는 존재하는 존재이다, 또는 나는 나다.”
에흐예 אֶֽהְיֶה 존재하는 이 또는 스스로 있는 이, 인류종교․문명사에서 그 흔적조차 찾을 수 없었던 히브리 노예들의 하나님의 자기계시를 어떻게 헤아려야할까?
수많은 성서학자들이 위 하나님의 자기계시를 이해하기 위해 세 가지 해석유형을 마련했다. 그러나 위 계시에 대한 해석은 시대마다 또 사람마다 모두 다르게 전해져 왔다.
첫 번째, 유대교 전통에 따른 해석인데 ‘그가 창조한 모든 것들을 존재하게 한다’라는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다. 풀어서 새기면 모든 역사사건과 자연현상들은 야훼의 뜻과 섭리에서 비롯된다는 믿음이다. 히브리 노예들의 해방과 구원사건이야말로 창조주 야훼하나님의 의지를 통해서 이루어졌다는 전통 구원신학이다. 우리말 성서는 이러한 견해에 따라 본문읽기 14절 야훼하나님의 자기계시를 ‘스스로 있는 자’라고 번역했다.
두 번째, 현대적의미가 묻어나는 해석으로써 ‘나는 나다’라는 뜻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헬 라어 70인역성서는 이 하나님의 자기계시를 ‘에고 에이미 호 온 Ἐγωʹ εἰμι ὁ ὤν 나는 존재하는 존재다’라고 번역했다. 이 번역은 사마리아 여인을 만난 예수의 자기계시 ‘에고 에이미 호 랄론 소이 Ἐγωʹ εἰμι ὁ λαλῶν σοι 너에게 말하는 내가 바로 그다’와 닮았다.
세 번째, 본문에서 사용하는 히브리어 동사 ‘에흐예’가 ‘미래단순형’임을 전제로 ‘나는 ~이든 될 것이다’라는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다. 실제로 본문읽기 15절에서는 보다 짜임새 있고 알기 쉬운 하나님 이름의 형태를 ‘예흐바 יְהוָה 라는 3인칭 미래단순형’으로 제시한다. 이 하나님 이름의 뜻은 ‘그는 ~이든 될 것이다’라고 이해할 수 있다.
하나님의 자기계시에 대한 이 세 번째 해석의 근거는 본문읽기 14절에서 이스라엘 후손들에게 전해줄 하나님의 이름을 ‘예흐바’라고 지시하셨기 때문이다. 또 야훼 하나님께서 스스로를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의 하나님이라고 밝히시면서 ‘내가 정녕 너와 함께 하겠다’라고 약속하시기 때문이다. 나아가 ‘히브리 노예들을 해방하고 구원하셔서 자기 사람들로 삼으시고 그들의 삶을 인도하시겠다’는 야훼하나님의 의지 때문이다. 실제로 야훼 하나님은 히브리 노예들과 함께 ‘~이든 되실 분이고 ~이든 하실 분’이다.
그러므로 필자는 이 세 번째 해석이 ‘히브리 노예들의 희년신앙 행동계약 행동법규’에 걸맞은 해석이라고 믿는다. 왜냐하면 히브리 노예들의 하나님 야훼께서 나타나심으로써 출애굽 해방과 구원사건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또 야훼 하나님의 이름이 파라오 노예제국에서 탈출한 히브리 해방노예들의 공동체신앙과 삶의 체험과 신앙고백 속에 깊이 뿌리 박혀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히브리 노예들의 하나님으로써 야훼는 인류종교․문명사에서 그 흔적조차 찾을 수 없는 전혀 새로운 괴짜 하나님이라는 것 때문이다.
“나는 너를 이집트 땅, 종 되었던 집에서 인도해 낸 너희의 하나님 야훼다”
'21세기 성서읽기 > 희년신앙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년신앙의 태동, 모세가 히브리 노예들의 하나님 이름을 묻는 이유는 무엇일까? (0) | 2025.01.13 |
---|---|
“에흐예 아쉐르 에흐예 אֶֽהְיֶה אֲשֶׁר אֶֽהְיֶה” (0) | 2025.01.13 |
희년신앙의 태동, 실패한 히브리 노예성공신화 모세-야훼 하나님의 출애굽 해방과 구원사건에 참여하다. (0) | 2025.01.12 |
희년신앙의 태동, 히브리 노예들의 신음과 부르짖음에 소통하고 연대하며 참여하시는 ‘야훼 하나님’ (0) | 2025.01.12 |
희년신앙의 태동, 히브리노예들의 하나님 야훼-정말 괴짜 하나님이 나타나셨다. (0) | 2025.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