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게 씨앗을 주시오.
그렇다고 해도 그 땅의 가난하고 힘없는 풀뿌리 농부들이 끝없이 무너지기만 할까? 넘어지고 엎어지기만 할까?
다시 한 번 더 힘을 내어, 이집트 땅 풀뿌리 농부들이 요셉에게 자신들의 마땅한 요구들을 내어놓았다.
“그러나 당신이 씨앗을 주십시오.
우리가 살아야 합니다.
우리가 죽지 않아야만 ‘땅도 황무지가 되지 않을 것’입니다.”
위 히브리어 문장의 문맥 안에 흐르는 속뜻은 오롯이 ‘땅’에만 기대어 살아온 농투성이들의 속절없는 ‘생명저항 의지’다. 그 땅 풀뿌리 농부들은 수많은 세월동안 그 땅에 기대어, 그 땅을 가꾸고, 그 땅을 믿고, 그 땅을 의지하여 살아왔다.
“우리에게 씨앗을 주시오.”
이 요청은 이집트 땅 풀뿌리 농부들의 끝판 생의 자존심이며 ‘밑바탕 삶의 의지’이다. 그러나 본문에서 꿈의 사람 요셉은 너무도 놀랍고, 두렵고, 참혹하게 이집트 땅 풀뿌리 농부들의 끝판 생의 자존심을 짓밟았다. 그들의 밑바탕 삶의 의지와 숨통을 끊었다.
“요셉이 이집트제국 경계 이 끝으로부터 저 끝으로까지 도시들로 그 땅 풀뿌리 농부들을 옮겼다.”
인류종교․문명사 속에서 꿈의 사람 요셉처럼 잔인하고 가혹하게 일처리를 하는 경우는 쉽게 찾아볼 수 없다. 본문읽기에서 이집트 땅 풀뿌리 농부들은 자기 땅을 빼앗기고 온 가족이 함께 파라오의 채무노예가 되었다. 그리고 마침내는 그 땅으로부터 뿌리 뽑혀 쫓겨나야만 했다. 이제는 속절없이 떠돌이 농노신세로 떨어졌다.
'21세기 성서읽기 > 희년신앙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년신앙의 태동, 그러나 요셉은 온전히 제사장들의 땅만큼은 사지 않았다. (0) | 2025.01.09 |
---|---|
희년신앙의 태동, 이집트제국 경계 이 끝으로부터 저 끝으로 까지 (0) | 2025.01.09 |
희년신앙의 태동, 꿈의 사람 요셉 - 이런 꼼수쟁이를 다시 찾아볼 수 있을까? (0) | 2025.01.09 |
희년신앙의 태동, 무엇이 하나님의 뜻이고 하나님의 일들일까? (0) | 2025.01.09 |
희년신앙의 태동, 왜 ‘파라오 채무노예제국 지배체제’를 이야기해야만 하는가? (0) | 2025.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