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세는 누구인가?
모세는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민족영웅이다. 히브리 성서 신앙역사 안에서 가장 위대한 지도자다. 히브리 성서에서 모세는 야훼 하나님의 해방과 구원사건 일꾼으로써 온갖 고난을 겪는다. 그리고 모세는 마침내 히브리 노예들을 파라오 노예제국으로부터 탈출시키는 주역으로 등장한다.
따라서 히브리들의 희년신앙 행동서사의 밑바탕을 이루는 야훼하나님의 모든 말씀들 곧 ‘희년신앙 행동계약 행동법규들’도 모세로부터 유래한다. 물론 유대교와 유대인들은 ‘희년신앙 행동법규들’이라고 하지 않고 ‘야훼 하나님의 토라’(또는 율법, 교훈)이라고 한다. 따라서 기독교회도 히브리 성서의 첫머리 다섯 권의 책을 ‘모세오경’(또는 모세의 율법)이라고 부른다. 이처럼 모세는 유대교와 유대인들에게 또한 기독교와 이슬람에게까지 도저히 떨쳐낼 수 없는 ‘신앙과 종교성(religiousity)’의 큰 영향을 끼쳤다.
실제로 히브리 성서는 ‘모세와 같은 예언자가 다시는 이스라엘 안에서 일어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더해서 ‘그는 야훼께서 얼굴과 얼굴로 아는 사람이었다’라고 증언한다.(신명기 34:10) 히브리 성서에 나타나는 수많은 예언자들과 신앙영웅들 가운데 그 누구도 모세와 비교될 수 없다. 한마디로 모세를 향한 히브리 성서의 총평은 ‘그 사람 모세는 땅위에 있는 모든 사람들보다도 매우 겸손하였다’이다.(민수기 12:3)
그렇더라도 히브리 성서 출애굽기는 결코 이스라엘 민족의 위대한 해방지도자 모세의 업적을 기리는 ‘영웅서사’가 아니다. 모름지기 출애굽기는 파라오 노예제국으로부터 히브리 노예들을 해방하고 구원하신 ‘야훼하나님의 출애굽 신앙사건’을 기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점에서 출애굽기의 핵심내용은 히브리 노예들의 출애굽 해방과 구원사건이다.
따라서 출애굽기 저자는 히브리 해방노예들의 희년신앙 행동서사의 태동과 출발을 꼼꼼하고 생생하게 기록했다. 왜냐하면 출애굽 해방과 구원사건이야말로 히브리들에게 ‘야훼 하나님의 사람들이라는 신앙체험이며 증언’이기 때문이다. 야훼 하나님께서 출애굽 해방과 구원사건을 통해서 히브리 노예들을 자기사람들로 세우시겠다는 약속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히브리들은 출애굽 해방과 구원사건 체험과 신앙고백을 통해서 스스로를 야훼하나님의 사람들이라고 주장한다.
이와 관련하여 히브리 성서 출애굽기의 첫 단락은 1장에서 15장까지다. 이 단락은 야훼 하나님께서 파라오 채무노예제국으로부터 히브리 노예들을 해방하고 구원하시는 이야기가 주요 내용이다. 출애굽기1장은 야곱의 아들들 곧 히브리들이 어떻게 이집트제국 파라오의 노예로 떨어지게 되었는지를 보고한다. 2장에서 15장까지는 히브리 노예들이 어떻게 파라오 노예제국 지배체제의 사슬에서 해방되어 탈출해 나아오게 되었는지를 보고한다.
그 과정에서 모세이야기는 너무도 중요한 역할을 감당한다. 모세가 히브리노예들의 사회·종교·정치 지도자였기 때문이다. 모세는 야훼 하나님의 해방과 구원사건 일꾼으로 부르심을 받았다. 이제 본문읽기1.2.(출2:1-10,2:11-15)에서 ‘모세 탄생설화와 모세의 투쟁’이야기는 히브리들의 희년신앙 행동서사 대장정의 서막이다. 파라오 채무노예제국에서 종살이 하던 히브리 노예들을 해방하고 구원하시는 야훼하나님의 출애굽 해방과 구원사건의 출발점이다.
모세는 죽는 그날까지 야훼하나님의 해방과 구원사건 일꾼으로써 히브리 해방노예들의 ‘광야40년 희년신앙 행동훈련’을 이끌었다. 히브리들과 야훼하나님 사이에서 맺어지는 ‘희년신앙 행동계약’을 중재했다. 야훼 하나님으로부터 희년신앙 행동법규들을 내려 받아서 히브리들에게 선포했다. 히브리들과 함께 광야에서 40년을 살면서 온갖 고초를 함께 겪었다. 그러나 모세는 끝끝내 야훼 하나님께서 선물하신 가나안땅 노느매기에 참여하지 못했다. 야훼 하나님으로부터 가나안 땅을 밟아보는 것조차 허락받지 못했다. 참으로 모세의 죽음은 그 때와 장소와 상황조차 알려지지 않았다. 모세는, 자신의 죽음조차 알려지는 것을 허락받지 못한 채 히브리노예 공동체로부터 시나브로 사라져갔다.
이제 필자는 제시한 출애굽기 본문들을 자세히 읽고 문장과 문장사이 행간을 살펴서 히브리 성서 희년신앙 행동서사의 진실을 찾아보려고 한다.
이러할 때 본문들에 앞선 출애굽기1장은 파라오 채무노예제국 지배체제에서 종살이 하는 히브리들의 처참한 삶의 상황을 그려낸다. 이어서 본문읽기1.(출2:1-10)은 이스라엘 종교․역사에서가장 중요한 사람 ‘모세의 탄생설화’를 이야기한다. 본문읽기2.(출2:11-15)는 히브리 노예들의 해방 지도자 모세의 인간적인 투쟁과 실패를 소개한다. 본문읽기3.(출2:23-25)은 파라오 노예제국에서 종살이 하는 히브리 노예들의 절망적인 삶의 상황과 모세의 인간적인 투쟁실패 사이에서 ‘하나님이 어떻게 역사에 개입 하시는가’를 보여준다. 이제 본문들을 살펴서 읽고 풀이하며 야훼하나님의 뜻을 찾아보자.
'21세기 성서읽기 > 희년신앙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년신앙의 태동, 그의 이름은 모세-물에서 건지다 (0) | 2025.01.12 |
---|---|
희년신앙의 태동, 모세의 탄생설화-나일강가의 세 여인 (0) | 2025.01.11 |
희년신앙의 태동 3. 실패한 히브리노예 성공신화 모세이야기-히브리 노예들의 신음과 절규-본문읽기2-3. (0) | 2025.01.11 |
희년신앙의 태동 3. 히브리노예 성공신화 모세이야기-히브리 노예들의 고난서사를 쓰다-본문읽기1. (0) | 2025.01.11 |
희년신앙의 태동, 파라오 노예제국 지배체제의 딜레마 (0) | 2025.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