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년신앙, 성서주변세계의 ‘빚진 죄인 사회․종교 집단신념 체계’
성서주변 종교‧문명사에 나타난 ‘빚진 죄인, 사회․종교 집단신념 체계’의 밑바탕을 살펴보자. 고대 메소포타미아 지역은 기원전 3천5백년 무렵부터 수메르문명을 꽃피웠고 아카드와 바빌로니아 문명으로 이어졌다. 그 과정에서 고대 메소포타미아 지역은 유목사회에서 농경사회로 바뀌었다. 다양한 종족들 또는 민족들에서 신전제사장 지배체제가 든든하게 뿌리내렸다. 또 힘센 민족이 흩어져 있는 작은 종족들을 차례로 정복하면서 하나의 강력한 노예제국 지배체제를 건설하기도 했다.
이렇듯이 메소포타미아 고대종교‧문명사 속에서 ‘신전제사장 전제주의(專制主義) 또는 노예제국 지배체제’를 튼튼하게 세우기 위한 창조신화가 만들어졌다. 그렇게 만들어진 창조신화는 고대 성서주변세계에 널리 알려져 뿌리를 내렸다. 그러면서 창조신화 내용들이 더 풍성해지고 새로워지기도 하였다.
그래서 성서학자들은 히브리 성서 천지창조이야기의 줄거리를 바벨론 창조신화 ‘에누마 엘리쉬’에서 찾는다. 에누마 엘리쉬는 메소포타미아 고대도시 니느웨 아슈르바니팔 도서관에서 토판문서로 발견되었다. 이 토판문서는 고대 바빌론제국 수호신이었던 마르둑의 창조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토판문서의 마르둑 창조이야기는 셈족 언어인 아카드어로 기록되었지만 실제로는 고대 수메르문명 창조신화로부터 이어져왔다. 그 핵심내용은 ‘노동하는 노예인간 창조’다.
이처럼 고대 메소포타미아문명 속에서 노동하는 노예인간 창조신화는 신전제사장 전제주의 또는 노예제국 지배체제의 정당성을 증언했다. 고대 노예제국 지배체제는 노예인간 창조신화를 통해서 사람과 자연 사이에서 벌어지는 온갖 삶의 체험들을 신화화 또는 종교화했다. 사람과 자연과의 관계 속에서 온갖 삼라만상(森羅萬象)들이 오롯이 신의 위상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마침내 사람은 신들의 안락을 위해 노동하는 노예인간 창조신화 속으로 재배치 될 수밖에 없었다.
이렇듯이 성서주변 문명세계에서 ‘노동하는 노예인간 창조신화’는 빚진 죄인, 사회‧종교‧정치․경제 이데올로기의 밑바탕이었다. 노동하는 노예인간 창조신화가 고대 지중해세계에서 노예제국 지배체제를 튼튼하게 세워냈다. 노예제국 지배체제를 지탱하는 버팀목역할을 해왔다. 또한 인류종교‧문명사 속에서 ‘빚진 죄인’이라는 아주 오랜 사회‧종교‧정치․경제 이데올로기를 뿌리내리게 했다. 나아가 빚진 죄인, 사회종교 집단신념체계야말로 ‘옳고 바르며 마땅하다’고 증언해 왔다.
'21세기 성서읽기 > 희년신앙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년신앙 여는 글, 성서주변 문명세계의 빚세상경제 체제 (1) | 2024.11.21 |
---|---|
희년신앙 여는 글, 성서주변세계의 소작농 채무제도 (0) | 2024.11.18 |
희년신앙 여는 글, 빚진 죄인, 참일까? (1) | 2024.11.14 |
쉼이 있는 노동세상, 안식일의 주인은 사람이다. (0) | 2024.08.04 |
안식일 쉼이 있는 노동, 어떻게 쉬어야 할까? (0) | 2024.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