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생활경제를위하여 4

행복한 생활경제를 위하여 - 생활영성훈련 행동수칙

행복한 생활경제를 위하여 - 생활영성훈련 행동수칙  자기 생활자리에서 찾을 수 있는 모든 사유물 목록을 작성한다. 그것들에 대한 스스로의 생활영성 행동계획을 세워보라. 생활영성훈련 행동수칙• 할 수만 있다면 ‘사유 또는 소유’를 거부한다. • 사유(소유)하지 않고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 • 가정재무 상황을 철저하게 헤아리고 판단한다.  욕구․욕망․탐욕 분별훈련 행동수칙• 하루하루 마땅한 삶의 욕구와 탐욕을 가르고 나누는 훈련을 한다. • 탐욕을 거부하는 습관과 능력을 훈련한다.• 마땅한 삶의 욕구를 조직화 하고, 절제하며, 조절하는 훈련을 한다. 생활영성 훈련기술• 겸손하고 단순하며 소박한 언어사용을 훈련한다.• 자연물을 묵상하고 사람과 자연 생명공동체 관계를 되새긴다.• 자연물에 대한 사람됨..

행복한 생활경제를 위하여 - 생활영성 훈련

행복한 생활경제를 위하여 - 생활영성 훈련 주체성 찾기․훈련하기․세우기․지키기  첫 번째 단계• 쓰임과 필요 분별하기• 욕구․욕망․탐욕 분별하기• 가정재무상황 분별하기  두 번째 단계 • 내려놓음 훈련(탐욕)• 욕구․욕망 재구성하기• 쓰임과 필요 재구성하기• 가정재무상황 재구성하기 세 번째 단계• 미래 재구성하기• 재능과 노동의 소비 재구성하기(이웃을 위하여)• 자유로움 누리기 네 번째 단계 • 행복한 생활경제 꾸리기를 위해 ‘단순 소박한 삶의 태도’를 훈련한다. • 하루하루의 생활 속에서 ‘사유(私有) 또는 소유(所有)’를 묵상한다. 단순 소박한 삶의 태도는 자연스러운 삶의 모습이다. 단순 소박한 삶의 태도는 ‘사람의 생명자리의 밑바탕 본질이 사람의 생활자리 삶의 태도로 열매 맺은 것’이라고 할 수 있..

행복한 생활경제를 위하여-21세기 금융시스템을 향한 집단무의식을 깨우다.

행복한 생활경제를 위하여 21세기 금융시스템을 향한 집단무의식을 깨우다.  • 나에게 ‘돈’이란 무엇일까? • 21세기 돈의 실체는 무엇일까?  • 21세기 돈의 실체로써, 금융(金融-finance)이란? 돈이 돌고 도는 것(화폐의 순환)을 금융이라고 한다. 21세기 금융시스템 속에서 ‘화폐의 순환을 숫자․수식으로 표현’하면 이렇다. ▸2023년 12월 말 현재, 본원통화(시중은행 종자돈) 274.077조원이 × 통화승수 약 14.246배로 돌고 돌아서 = 신용통화(빚 : 실제 돈) 3,904.552조원을 만들었다. • 한국은행은 화폐의 순환(통화通貨)을 매달 ‘통화지표’로 발표한다. 화폐발행액(법정화폐,현금통화)/본원통화(시재금+지급준비예치금)/협의통화(M1-현금+모든 보통예금)/광의통화(M2-현금+..

행복한 생활경제를 위하여 - 주체성 질문

행복한 생활경제를 위하여 - 주체성 질문 사람은 이기적 동물인가, 이타적 동물인가? 자본주의 경제의 밑바탕으로써, 사람은 이기적 동물이다. • 적자생존의 법칙 생명체 생존경쟁의 결과로써 환경에 적응하는 것만 살아남았다.생존경쟁에서 뒤처지는 생명체는 도태되었다. • 사람의 이기적 유전자 설(리처드 도킨스) 사람은 유전자에 의해 창조된 생존기계다.서로가 서로에 대하여 경쟁하고 투쟁함으로써 살아남는다. • 자본주의 시장경쟁의 법칙 무한경쟁 → 무한독점 → 무한축적 → 무한소비  서로의존경제(공유경제)의 밑바탕으로써, 사람은 이타적 동물이다.  • 사람의 이타적 유전자 설(매트 리들리)사람의 도덕과 사회성은 이타적 유전자의 명령이다.• 이타적 유전자의 발현 사람의 유전수는 약 3만 ~ 4만개. 전체 유전자 가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