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오 노예제국 지배체제의 노예들은 어떤 사람들이었을까?
첫 번째, 파라오 노예제국 지배체제에서 대부분의 노예들은 이집트 땅 풀뿌리 농부들이었다. 이러한 상황은 창세기 ‘요셉 이야기’에 낱낱이 드러나 있다. 요셉은 파라오 지배체제의 ‘외부인 노예성공신화 주인공’으로써 뛰어난 행정관료 역할을 수행했다. 요셉은 파라오의 은밀한 채무노예제국 욕망을 철저하게 이해하고 파라오의 욕망을 현실로 만들어냈다. 요셉은 나일강 언저리 땅에서 오랜 세월 숙명처럼 반복되어온 풍년과 흉년상황을 이용하여 모든 소규모 자영농을 해체했다. 그리고 이집트 땅 모든 풀뿌리 농부들을 채무노예화 한 후 파라오 채무노예제국의 떠돌이농노로 떨어트렸다.
두 번째, 파라오 노예제국 지배체제의 노예들 가운데 상당부분은 전쟁 또는 약탈노예들로 채워졌다. 실례로 고대 이집트18왕조 시대의 투트모세3세는 왕위에 있는 동안 열일곱 번에 이르는 정복전쟁에 나섰다. 그는 여러 기념비에 전쟁승리를 기록했는데 전쟁승리 때마다 수많은 전쟁노예들을 잡아왔다고 자랑한다. 투트모세3세는 나일 강 상류에 위치한 누비아지역에서 반란이 일어났을 때에도 이곳을 정복했다. 그러면서 수많은 누비아 사람들을 노예로 만들었는데 그들은 대대로 금광에서 강제노역을 해야만 했다. 또한 팔레스타인과 시리아 등 식민지역 분봉군주들도 시시 때때로 파라오에게 조공노예들을 바쳤다.
세 번째, 본문에서 열거하는 이스라엘의 아들들의 명단처럼 팔레스타인과 시리아 등 메마른 땅을 떠돌다가 비옥한 이집트 땅으로 이주해온 이주민 노예들도 있었다. 이렇게 떠돌아온 이주민들 가운데는 용병도 있었고 떠돌이 건축․채석전문 일용노동자들도 있었다. 물론 요셉처럼 노예로 팔려온 사람들도 많았을 것이다.
'21세기 성서읽기 > 희년신앙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년신앙의 태동, 우리는 파라오 노예제국에서 종살이 하던 노예였습니다. (0) | 2025.01.11 |
---|---|
희년신앙의 태동, 이브리 עִבְרִי 히브리 → 하비루 Habiru 또는 아피루 Apiru (0) | 2025.01.11 |
희년신앙의 태동, 파라오 절대위상(絶對位相)의 밑바탕은 대규모 강제노역 (0) | 2025.01.10 |
희년신앙의 태동, 파라오 노예제국의 강제노역 (0) | 2025.01.10 |
희년신앙의 태동, 엑소도스 ἔξοδος 탈출 → 출애굽기 (0) | 2025.01.10 |